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비교

     

     

     

    기본 개요

     

     

    가입 대상 비교

     

     

    저축 및 혜택 비교

    장단점

    청년내일저축계좌

    장점

    • 저소득층에게 높은 매칭 지원(최대 1:3)
    • 가입 조건이 상대적으로 완화됨
    • 소득이 없는 차상위 이하 청년도 가입 가능

    단점

    • 납입 금액이 10만원으로 고정됨
    • 소득 기준이 엄격함

    청년도약계좌

    장점

    • 납입 한도가 높음(월 70만원)
    • 가입 소득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음(연 6,000만원)
    • 세제 혜택이 있음

    단점

    • 중소기업 재직자로 대상이 제한됨
    • 매칭 지원율이 청년내일저축계좌보다 낮음

     

    구분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만 19~34세 청년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
    만19~34세 청년
    중소기업 등 취업청년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저축금액 월 10만 원 고정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저축기간 2년 또는 3년  3년
    정부지원 소득에 따라 1:1 또는 1:3 매칭
    (최대 월 30만 원 지원)
    납입액에 따라 최대 45 추가 이자 지원
    세제혜택 근로장려금 지원 가능 이자소득세 비과세
    만기수령액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
    최대 1,440만 원(3년 기준)
    납입액에 따라 차등
    최대 약 2,650만 원(월 70만 원 납입 시)
    중도해지 제한정(특정 사유만 허용) 제한정(특정 사유만 허용)
    장점 저소득층에게 높은 매칭 지원
    가입 조건 상대적으로 완환
    납입 한도가 높음
    세제 헤택 우수
    소득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음
    단점 납입 금액 고정
    소득 기준 엄격
    중소기업 재직자로 제한
    매칭 지원율이 상대적으로 낮음
    중복가입 불가능 불가능

     

    중복 가입 가능 여부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두 계좌 모두 정부 지원 자산형성 프로그램으로, 하나의 프로그램만 선택하여 가입해야 합니다. 또한 이전에 청년내일채움공제, 희망키움통장 등 다른 정부 지원 자산형성 사업에 참여한 경우도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가장 자신에게 유리한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인의 소득 수준과 직장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