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비교
기본 개요
구분 |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도약계좌 |
기본개요 | ○저소득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 ○본인 저축액에 정부 지원금을 매칭하는 방식 |
○중소기업 취업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 ○본인 저축액에 정부 지원금을 추가 지원하는 제도 |
가입 대상 비교
청년내일저축계좌
- 만 19-34세 청년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
- 차상위 이하 가구의 청년은 소득이 없어도 가입 가능
청년도약계좌
- 만 19-34세 청년
- 중소기업 등에 취업한 청년
- 연소득 6,000만원 이하
저축 및 혜택 비교
청년내일저축계좌
- 월 10만원을 2년 또는 3년간 적립
- 정부지원금: 소득 수준에 따라 본인 저축액 대비 1:1 또는 1:3 매칭
- 최대 지원금: 월 30만원(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청년도약계좌
- 월 최대 70만원까지 납입 가능
- 정부지원금: 납입액에 따라 최대 4% 추가 이자 지원
- 세제혜택: 이자소득세 비과세
장단점
청년내일저축계좌
장점
- 저소득층에게 높은 매칭 지원(최대 1:3)
- 가입 조건이 상대적으로 완화됨
- 소득이 없는 차상위 이하 청년도 가입 가능
단점
- 납입 금액이 10만원으로 고정됨
- 소득 기준이 엄격함
청년도약계좌
장점
- 납입 한도가 높음(월 70만원)
- 가입 소득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음(연 6,000만원)
- 세제 혜택이 있음
단점
- 중소기업 재직자로 대상이 제한됨
- 매칭 지원율이 청년내일저축계좌보다 낮음
구분 |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도약계좌 |
가입대상 | 만 19~34세 청년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 |
만19~34세 청년 중소기업 등 취업청년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
저축금액 | 월 10만 원 고정 |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
저축기간 | 2년 또는 3년 | 3년 |
정부지원 | 소득에 따라 1:1 또는 1:3 매칭 (최대 월 30만 원 지원) |
납입액에 따라 최대 45 추가 이자 지원 |
세제혜택 | 근로장려금 지원 가능 | 이자소득세 비과세 |
만기수령액 |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 최대 1,440만 원(3년 기준) |
납입액에 따라 차등 최대 약 2,650만 원(월 70만 원 납입 시) |
중도해지 | 제한정(특정 사유만 허용) | 제한정(특정 사유만 허용) |
장점 | 저소득층에게 높은 매칭 지원 가입 조건 상대적으로 완환 |
납입 한도가 높음 세제 헤택 우수 소득 기준이 상대적으로 높음 |
단점 | 납입 금액 고정 소득 기준 엄격 |
중소기업 재직자로 제한 매칭 지원율이 상대적으로 낮음 |
중복가입 | 불가능 | 불가능 |
중복 가입 가능 여부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두 계좌 모두 정부 지원 자산형성 프로그램으로, 하나의 프로그램만 선택하여 가입해야 합니다. 또한 이전에 청년내일채움공제, 희망키움통장 등 다른 정부 지원 자산형성 사업에 참여한 경우도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가장 자신에게 유리한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인의 소득 수준과 직장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금융지원 '소상공인 119 플러스' 지원대상, 신청자격, 신청방법 (0) | 2025.04.27 |
---|---|
미래에셋자산운용 어린이 ETF 회원 모집 이벤트 기간, 참여방법 안내 (0) | 2025.04.24 |
2025년 '경기청년 기회사다리금융' 2차 공급, 지원대상 지원방법 (0) | 2025.04.20 |
고양시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모집 지원대상 및 자격조건 (0) | 2025.04.19 |
2025년 5월 MSIC 지수 편입 종목 전망 및 투자 전략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