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시의 보증금지원형 장기안심주택은 무주택 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최대 6,000만원을 무이자로 지원하는 공공임대주택 제도입니다. 특히 신혼부부를 위한 미리내집 연계형 장기안심주택은 출산과 장기 거주 시 장기전세Ⅱ(미리내집)로 이주할 수 있는 특별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2025년 1차 모집이 4월 28일 시작되었으니, 지금 바로 신청 조건과 혜택을 확인하세요!
장기안심주택이란?
보증금지원형 장기안심주택은 서울시가 무주택 시민이 선택한 민간임대주택(보증금 4.9억 원 이하)의 보증금을 최대 6,000만원까지 무이자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증금 4.9억 원 이하: 보증금의 30%(최대 6,000만원)
- 보증금 1.5억 원 이하: 보증금의 50%(최대 4,500만원)
지원 기간은 최대 10년(2년 단위 재계약)으로, 신혼부부와 무주택 가구의 주거 부담을 줄이는 데 최적화된 프로그램입니다.
2025년 1차 모집 안내
- 모집 공고일: 2025년 4월 28일
- 모집 물량: 총 4,000호
- 일반공급: 3,600호
- 신혼부부 특별공급(미리내집 연계형): 200호
- 세대통합 특별공급: 200호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2일 10:00 ~ 5월 14일 17:00
- 신청 방법: SH 인터넷 청약 시스템
-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 2025년 5월 20일 14:00 이후 (개별 문자 안내)
- 입주 대상자 발표: 2025년 7월 31일
- 계약 기간: 2026년 7월 30일까지 1년 내 계약 가능
- 문의: SH 콜센터 (1600-3456)
신혼부부 특별공급: 미리내집 연계형 혜택
신혼부부를 위한 미리내집 연계형 장기안심주택은 보증금 무이자 지원 외에도 출산과 장기 거주 시 추가 혜택을 제공합니다. 2025년 총 500호 공급 예정이며, 이번 1차 모집에서는 200호가 배정되었습니다.
미리내집 연계형 장기안심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 입주 주요 혜택
구분 | 입주 시 | 1자년 출산 시 | 2자년 출산 시 |
거주 기간 | 10년 | 20년 (장기전세Ⅱ 이주) | 20년 (장기전세Ⅱ 이주) |
대상 주택 | 민간임대주택 | 민간임대주택 → 장기전세Ⅱ (10년 차) | 장기전세Ⅱ |
우선매수 청구권 | 없음 | 없음 | 시세 90% 매수 (3자녀 이상: 시세 80%) |
- 장기전세Ⅱ(미리내집): 자녀 출산(태아 포함) 후 10년 거주 시 이주 가능, 최대 10년 추가 거주, 소득·자산 기준 미적용 (무주택 요건 심사).
- 출산 가구 인센티브: 거주 중 자녀 출산(임신 포함) 시 재계약 때 소득·자산 심사 면제 (무주택 요건 심사).
- 추가 대출: HUG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조건 충족 시 보증금 자기부담금 대출 가능.
신혼부부 소득 기준 완화
2025년부터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맞벌이 가구를 위한 소득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 외벌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 120% 이하
- 맞벌이: 180% 이하 (2인 가구 가산 10%p 적용 시 최대 190% 이하)
이로 인해 맞벌이 신혼부부의 신청 기회가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지원 대상 주택
- 주택 규모: 가구원수 무관 전용 85㎡ 이하
- 예외: 5인 이상 가구 또는 미성년 자녀 3명 이상 한부모 가구는 85㎡ 초과 가능
- 세대구성원 변경 시 기존 주택 계속 거주 가능 (재계약 시 불가피한 사유 인정)
- 주택 유형: 단독·다가구, 상가주택, 다세대·연립, 아파트, 주거용 오피스텔 (건축물대장 기준)
신청 자격
- 무주택 요건: 필수
- 소득 기준:
- 일반공급: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하
- 신혼부부 특별공급: 외벌이 120% 이하, 맞벌이 180% 이하
- 세대통합 특별공급: 120% 이하
- 자산 기준:
- 부동산(토지, 건축물): 2억 1,550만원 이하
- 자동차: 3,803만원 이하
장기안심주택의 장점
- 보증금 부담 완화: 최대 6,000만원 무이자 지원으로 초기 비용 절감.
- 유연한 주택 선택: 시민이 원하는 민간임대주택 선택 가능.
- 장기 거주 안정: 최대 10년 거주, 신혼부부는 미리내집으로 최대 20년.
- 출산 가구 지원: 소득·자산 심사 면제, 우선매수 청구권 부여.
- 맞벌이 친화: 소득 기준 완화로 더 많은 신혼부부 지원 가능.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 신청 절차:
- SH 인터넷 청약 시스템에서 온라인 접수.
- 서류 심사 후 대상자 발표 및 권리분석심사 진행.
- 유의사항:
- HUG 버팀목 대출 신청 시 장기안심주택 지원 사실을 대출기관에 반드시 고지.
- 미리내집 청약은 장기안심주택 거주 중에도 가능.
- 추가 모집 일정: 2025년 8월, 12월 추가 모집 예정.
서울시의 미래 계획
서울시는 미리내집 연계형 장기안심주택을 시작으로 2025년 7월부터 다세대·연립·한옥 등 비아파트형 미리내집 공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신혼부부와 무주택 시민의 주거 안정성을 더욱 강화할 예정입니다.
지금 바로 장기안심주택으로 주거 안정의 첫걸음을 내딛으세요!
궁금한 점은 SH 콜센터(1600-3456) 또는 SH공사 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
SH 인터넷청약시스템
천만시민과 함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에 기여하는 서울주택도시공사
www.i-sh.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 의미, 앞으로의 전개, 민주당의 판단 (1) | 2025.05.01 |
---|---|
2025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기준 및 조건, 신청방법 (0) | 2025.05.01 |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어떤것이 더 유리한가? (0) | 2025.04.28 |
소상공인 금융지원 '소상공인 119 플러스' 지원대상, 신청자격, 신청방법 (0) | 2025.04.27 |
미래에셋자산운용 어린이 ETF 회원 모집 이벤트 기간, 참여방법 안내 (0) | 2025.04.24 |